본문 바로가기

Deep Learning

딥러닝 시작하기

  • 딥러닝 사용 환경

딥러닝을 처음 시작했을 때, 그야말로 개고생했다. 

윈도우에서 딥러닝을 사용하기 어렵다고 해서 리눅스로 포맷했는데,

리눅스에서 딥러닝 환경을 세팅하는 것만해도 일주일은 걸렸다.

원래 리눅스를 쓰는 사람은 어떨지 모르겠지만,

그때 난 리눅스도 처음이고 딥러닝도 처음이었기 때문에 너무 힘들었다. 

지금은 윈도우에서 딥러닝을 쓰고 있는데, 상당히 편하다. 

딥러닝 사용 환경은 아래와 같은 구성 요소들이 필요하다.

0. GPU

1. 아나콘다 + 파이썬

2. CUDA + cudnn

3. 파이참 + 파이토치

4. git + github

  • 설치과정은 아래와 같다.(윈도우 기준)

1. 아나콘다 설치 (python이 자동으로 설치됨)

2. CUDA 10.0 설치 (NVIDIA Driver가 자동으로 설치됨)

3. cudnn 7.5.1 다운 -> 파일들을 Program Files\NVIDIA GPU Computing Toolkit\CUDA\v10.0로 복사

4. Pycharm community 버전 설치

5. Git 설치

6. Github desktop 설치

7. github.com/new 에서 repository 만든다 -> init with readme 선택,  .gitignore은 py 선택

8. pycharm에서 대충 project하나 만든다. (이건 어차피 버릴거라 대충 만들면 됨)

9. 파이참 상단 바에서 file -> setting -> git 검색 -> test 버튼 클릭해서 git 호출되는거 확인

10. 옆에 목록에서 github으로 들어가서 github 계정 등록

11. 파이참 상단 바에서 VCS -> Checkout ~ -> Git -> repository URL 입력, 폴더 생성 -> New window

12. file -> setting -> Project -> project interpreter 들어가보면 웬만한 패키지들이 다 설치되어있음 (환상적...)

13. github desktop에서 drive에 존재하는 repository 불러오기 -> 방금 파이참으로 만든 폴더 선택

14. 파이참 터미널에서 파이토치 설치 -> conda install pytorch torchvision cudatoolkit=10.0 -c pytorch

15. 파이참에서 프로젝트 폴더를 우클릭한뒤 mark directory as > source root 해줘야 한다.

16. 프로젝트 폴더에 src 폴더를 만들고, 폴더 안에 main.py파일 만들기

17. main.py 파일에 아래처럼 입력, 파아참 상단 바에서 Run -> Run해서 torch 작동 확인

> import torch
> print(torch.cuda.get_device_name(0))
> print(torch.cuda.is_available())
> print(torch.__version__)

 

  • 그때로 돌아간다면...

그때 돈이 없어서 1060을 샀는데, 1060 3GB가 아니라 1060 6GB를 샀어야 했다. 메모리의 중요성을 몰랐다.

파이썬을 직접 다운 받고 패키지도 하나씩 다운받았는데, 아나콘다를 쓰면 훨씬 편하다.

깃이 왜 필요한지 몰랐는데, 지금은 깃 없으면 죽음.. 깃허브는 진짜 천국이다.

텐서플로는 버리고 파이토치를 사용한다. 훨씬 직관적이어서 편하다. 

 

 

 

'Deep Learn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딥러닝을 시작한 계기  (0) 2019.10.26